반응형
◆ 가까운 길 마다하고 먼 길로 간다.
편하고 빠른 방법이 있는데도 구태여 어렵고 힘든 방법을 택한다는 뜻.
◆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.
이웃과 서로 돕고 가까이 지내면 그것이 먼 곳에 있는 친척보다 더 친하고 다정하다는 말.
◆ 가까운 이웃 먼 친척보다 낫다.
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도 더 친하다는 뜻.
◆ 가까운 집은 깍이고 먼데 절은 비친다. (북한)
좋은 사람이라도 늘 접촉하면 그 진가를 알지 못하고,
그 반대로 멀리 있는 사람은 직접 잘 모르면서도 과대평가하기 쉽다는 뜻.
◆ 가까운 제 눈썹 못본다.
눈썹은 눈 가까이 있는데도 보지 못하는것처럼 가까이 있는것을 보지 못할때를 두고 하는 말.
◆ 가꿀 나무는 밑동을 높이 자른다.
어떠한 일이나 장래의 안목을 생각해서 미리부터 준비를 철저하게 해 두어야 한다는 뜻. 유비무환(有備無患)
◆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.
가난한 사람의 구제는 끝이 없어 나라의 큰 힘으로도 어려우니, 일 개인의 힘으로는 더욱 힘들다는 말.
◆ 가난도 스승이다.
가난하면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생기므로 가난이 주는 가르침도 스승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의미.
◆ 가난이 원수다. / 가난이 도둑이다.
일반적으로 불행한 사건이 발생하는 동기는 가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때문에 생긴일을 두고 하는 말.
◆ 가난하면 찾아오는 벗도 없다.
친하던 벗도 가난하여 나눌것이 없어지게 되면 뜸해지기 마련. 마냥 손 내밀수는 없다는 뜻.
◆ 가난한 놈이 기와집만 짓는다.
가난하고 구차하게 사는 사람일수록 공상만 많이 하여 허풍을 떤다는 뜻.
가난할수록 기와집 짓는다. 주제파악을 못한다.
◆ 가난한 사람 구제는 나라에서 하기도 어렵다.
가난한 사람을 도와주는 일은 나라에서도 하기 어렵다는 말.
◆ 가난한 집 신주 굶듯 한다.
가난한 집에서는 제사를 그때마다 지낼 수 없으니, 신주가 굶을 수 밖에 없다.
그러나 신주는 창피하여 말도 못하니, 할 수 없이 말도 못하고 굶는다는 뜻.
◆ 가난한 집에 자식 많다.
가난한 집에는 먹을 것, 입을 것이 늘 걱정인데 거기다가 자식까지 많다고 하여 이르는 말.
◆ 가난한 집 제사 돌아오듯 한다.
제사도 지낼 형편이 안되는 가난한 집에, 제사가 자주 돌아오면 얼마나 걱정이 되겠는가?
힘들고 괴로운 일이 계속 닥치어 오는 것을 말한다.
◆ 가는 날이 장날.
생각하지 않고 간 날이 마침 장날이었다는 말이니, 뜻밖의 일이 공교롭게 잘 들어맞을 때 하는 말.
◆ 가는 말에 채찍질한다.
잘 하는 일을 더 잘 하게끔 격려한다는 뜻. 닫는 말에 채질한다. 주마가편(走馬加鞭)
◆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.
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자기에게도 좋은 반응이 돌아온다는 말.
◆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.
세상 일이 내가 남에게 조금이라도 잘 못하면, 나에게는 더 큰 해가 돌아온다는 뜻. - 비 :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.
◆ 가는 손님 뒷꼭지가 예쁘다.
자기 가족들도 먹기가 어려운 가난한 집에는,빨리 떠나는 손님이 마음속으로 고맙다는 뜻.
◆ 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.
상대방이 잘해 주기를 바란다면 먼저 상대방에게 잘해 주어야 한다는 뜻.
◆ 가는 토끼 잡으려다 잡은 토끼 놓친다.
욕심을 너무 크게 부려 한꺼번에 여러 가지를 하려다가 이미 이룬 일까지 실패로 돌아가고 하나도 못 이룬다는 말.
◆ 가늘고 길게 살기보다는 굵고 짧게 살겠다.
그럭 저럭 보통 사람으로 사느니 큰일을 치르고 단명 또는 실패하더라도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
모험적이며 큰일을 도모하며 살겠다는 뜻.
◆ 가다 말면 안 가느니만 못하다.
어떤일을 하다가 도중에 그만 두려면, 처음부터 하지 않는 편이 낫다는 뜻.
◆ 가던 날이 장날 = 가는 날이 장날.
비 : 來得早,不如來得巧 술 익자 체장수 지나간다.
◆ 가라고 가랑비 온다. / 가라고 가랑비 오고, 있으라고 이슬비 온다.
상세설명보기 일상 생활의 대화에서 비롯된 것인데 눈치없이 오래있는 사람을 일컫을 때 쓰는 말.
◆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.
작게 내리는 가랑비에 옷이 젖는 줄 모르게 젖는다는 것이니,
조금씩 재산이 없어지는 줄 모르게 줄어드는 것을 말한 뜻.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.
◆ 가랑잎에 불붙듯 한다.
성격이 매우 급하고 도량이 좁은 사람을 일컫는 뜻.
◆ 가랑잎으로 눈 가리고 아웅한다.
보통 자기의 일을 다 알고 있는 사람앞에서 거짓말을 하고, 속이려고 할때 쓰이는 뜻.
◆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.
가랑잎이 솔잎보고 바스락거린다고 야단친다는 말이니, 자기 나쁜 점을 모르고 다른 사람을 탓한다는 뜻.
남의 작은 허물을 나무라는 어리석은 행동을 이르는 말.
비 : 숯이 검정 나무란다. 똥 묻은 접시가 재 묻은 접시를 흉본다.
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.
남의 눈에 티는 보면서 자신의 눈에 들보는 보지 못한다.
◆ 가려운 곳 긁어 주듯.
불편한데가 없도록 여러 마음을 써 시중을 든다는 뜻.
◆ 가로 뛰고 세로 뛴다.
감정이 북받쳐, 이리저리 날뛸때 쓰는 말.
◆ 가루 가지고 떡 못 만들랴.
떡이나 빵을 반들때 쓰는 가루가 있는데 그토록 가장 보편적으로 누구나 만들수 있는 떡을 만들지 못하겠는가 ?
곧 가장 쉬운일을 못하겠는가 ?
비 : 누워서 떡먹기
◆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.
가루는 채로 칠수록 고와지지만, 말은 이 입에서 저입으로 옮겨 갈수록 보태져서 점점 거칠어진다는 뜻.
◆ 가만히 먹으라니까 뜨겁다고 한다.
조용히 하면서 먹으라니까 조용히 할 생각은 잊고 뜨겁다고 말하하면서
먹는 경우처럼 멍청한 사람을 두고 하는말.
◆ 가마 속의 콩도 삶아야 먹는다.
아무리 쉬운 일이라도 움직여서 손대지 않으면 제게 이익이 돌아오지 않는다는 말. -
비 :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 넣어야 짜다.
◆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더럽다고(검다고) 한다. (북한)
가마솥 밑이나 노구솥 밑이나 검기는 일반이니,서로 흉볼처지가 못 되면서도,
자신의 흉은 모르고 남의 흉만 본다는 뜻.
남보다 잘못이나 결함이 많은 사람이 제 흉은 모르고 남의 잘못이나 흉을 본다는 것을 비유한 말.
◆ 가물에 미리 돌 치는 거지.
가물때 도랑을 만들어 두면,장마때 걱정이 없다는 말이니, 무슨 일이고 미리 준비하는 것을 일러하는 뜻.
아직 비가 오지 않아 고랑을 칠 필요가 없는데도 너무 일찍 서두른다는 말.
◆ 가물(가뭄)에 콩 나듯
가물때 콩이 드문드문 나는 것과 마찬가지로, 어떤 일이나 물건이 드문드문 있음을 비유하는 말.
◆ 가뭄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.
큰 가뭄이라도 다소의 곡식은 거둘 수 있지만 큰 수해에는 농작물 뿐 아니라
농토까지 유실되기 때문에 피해가 더 크다는 뜻.
◆ 가뭄에 도랑치기.(친다.)
가물때 도랑을 만들어 두면,장마때 걱정이 없다는 말이니, 무슨 일이고 미리 준비하는 것을 일러하는 뜻.
◆ 가을가지 며느리가 먹어서 해롭다.
속까지 잘 익은 가을가지는 떫은 맛이 없어서 날로 먹기 좋다.
밭나들이를 자주하는 며느리가 가을가지를 따 먹을 기회가 많으니
아예 못 따 먹게 하는 방편으로 지어낸 말일 확률이 높다.
◆ 가을 바람에 새털 격이다.
가벼운 새털이 가을 바람에 맥없이 휘날린다는 뜻으로, 꿋꿋하지 못한 것을 가리키는 말.
◆ 가을 부채는 시세가 없다.
쓰는 시기가 지난 것은 값어치가 없다는 뜻.
◆ 가을비는 떡비
가을에는 추수를 하느라고 바쁘고 한데 작은 비라도 오게되면 빗물도 차서 큰비가 오는것으로 느껴짐.
추수하기에 바쁘고 들떠 있는, 기분 좋은 판에 비까지도 떡으로 느껴진다는 의미.
◆ 가을에 내 아비 제도 못 지내는데,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?
충분히 할 수 있는 형편일 때도, 보통 할 일도 못하는데 어떻게 궁색할때 대단찮은 일까지 할 수 있겠느냐는 뜻.
◆ 가을에는 부지깽이도 덤벙댄다.
가을 추수 때의 매우 바쁨을 가리켜 하는 말.
◆ 가을 중 싸대듯 한다.
가을에는 추수를 하므로,집집마다 식량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중이 가을에 동냥하러 바삐 다니는것 같이,
무슨 일에 바빠서 급하게 돌아다니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.
◆ 가재는 게 편이다.
가재도 게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게 편을 든다는 말이니, 서로 비슷한 것끼리 한편이 된다는 뜻.
◆ 가정 오랑캐 매맞듯 한다.
가정이 제 나라 세력만 믿고 마구 행패부리다가, 억센 사람을 만나면 많은 매를 맞으므로,
매를 여지없이 맞는 것을 가리키는 말.
◆ 가죽 없는 털은 없다.
털이란 가죽에서 나는것인데 반드시 가죽이 있어야 털도 있다는 말.
즉, 기본 바탕이 있어야 그 부속물도 있다는 의미로 쓰임.. - 비 : 아니땐 굴뚝에 연기나랴.
◆ 가죽에서 좀이 난다.
가죽에서 좀이 나면 가죽은 버리게 되지 않을 것인가? 그러므로, 이것은 내란이나 형제간에 싸움이 있을 때 쓰는 말.
◆ 가죽이 상하지 않게 호랑이를 잡을까?
호랑이의 가죽을 상하지 않게 하고 호랑이를 잡을 수 없음과 같이
힘 들이지않고 어려운 일을 할수 없음을 비유하는 말.
◆ 가지 나무에 목을 맨다.
자살하려고 할 깨는 목을 맬 나무의 크고 작은 것을 가리키지 않는다는 뜻이니,
급하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말.
◆ 가지 따먹고 외수한다.
남의 눈을 피하여 나쁜 짓을 하고 시치미를 뗀다는 뜻. 외수:남을 속이는 꾀.
◆ 가지많은 나무, 바람 잘 날이 없다.
가지가 많은 나무는 늘 바람에 흔들리듯, 자손이 많은 부모는 늘 근심이 떠나지 않는다는 뜻.
근심 걱정이 그칠 날이 없는 상황을 두고 하는말.
◆ 가진 사람이 임자다.
◆ 각관 기생 열녀(烈女) 되랴.
많은 남정네들과 교분이 많던 기생이 한 남자에게 수절할수 있는 열녀가 될수 없을것은 뻔한 일이라는 의미.
도저히 이루어질수 없는 상황이나 현상을 두고 하는 말.
◆ 간다 간다 하면서 아이 셋 낳고 간다.
하던일을 말로만 그만 두겠다고 하면서, 끝끝내 손을 떼지 못하고 질질 끄는 것을 가리켜 하는 말.
◆ 간에 가 붙고 쓸개에 가서 붙는다.
자기 이해만 계산해서 체면과 인격은 생각하지 않고,
자기 에게 이로운 데로운 붙어 아첨하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.
◆ 간에 가 붙고 염통에 가 붙는다.
자기에게 이로우면 인격 체면을 돌보지 않고 아무에게나 아첨한다는 뜻.
◆ 간에 기별도 안 간다.
음식을 너무 조금 먹어서 양에 차지 않는다는 뜻. - 비 : 새 발에 피
◆ 갈모 형제.
갈모의 모양은 위가 빠르고 아래가 넓게 만들어졌으므로, 아우가 형보다 낫다는 말.
◆ 갈수록 태산이다.
어려운 일을 당하였는데, 일이 풀리지 않고 점점 더 어려워만 되어 간다는 뜻.
태산같은 장벽이 가로 놓여 갈수록 험난하다.
갈수록 힘들고 어려운 지경에 처하게 됨을 이르는 말. - 비 : 산넘어 강
◆ 갈치가 갈치 꼬리 문다.
친한 사이에 서로 해를 끼친다는 뜻.
◆ 감기 고뿔도 남은 안 준다.
감기나 고뿔은 누구나 다 싫어하는 병인데도, 남에게 주지 않는다니, 상당히 인색한 사람을 두고 하는 말.
◆ 감나무 밑에 누워 감이 떨어지기를 기다린다.
무슨일이고 노력 없이 이익을 바란다는 뜻.
◆ 감나무 밑에 누워도 삿갓 미사리를 대어라.
의당 자기에게 올 이익이라도 그것이 오도록 어떤 준비 수단을 써야 한다는 말.
◆ 감사덕분에 비장놈 호사한다.
남의 덕분에 호강한다는 뜻.
◆ 감은 눈 못본다. (북한)
눈을 감고 있으면 무엇이나 볼 수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애당초 하려고 하지 않으면
능히 할 수 있는 것도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◆ 감투가 크면 귀가 짐작한다.
실제 능력보다 더큰 감투를 쓰게되면 어떤 형태로든 그 실체가 드러난다.
곧, 머리에 감투를 써도 전혀 상관이 없는 귀에까지 그 느낌이 온다는 말.
◆ 감투가 크면 어깨를 누른다.
실제의 역량보다 큰일을 하게되면 주위의 다른 부위에는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말.
◆ 갑갑한 놈이 송사한다.
무슨일이나 아쉬운 사람이 남보다 먼저 일을 시작한다는 말.
◆ 갑자생이 뭐가 작은가?
나이먹을대로 먹은 사람이라는 의미로 쓰임.
◆ 값도 모르고 싸다고 한다.
일의 속내(사정)도 잘 모르고 이러쿵 저러쿵 한다는 뜻.
◆ 값싼 것이 비지떡.
값이 싸면 품질도 별 수 없이 나쁘다는 말.
◆ 갓 마흔에 첫 버선.
오래간만에 기다리던 일이 이루어졌을때 쓰는 말.
◆ 갓 사러 갔다가 망건 산다.
본래의 의미를 잊어 버리고 다른 일에 정신이 팔려 있다는 뜻.
◆ 갓 쓰고 자전거탄다.
갓을 쓰고 자전거를 타면 얼마나 보기가 흉한가? 제 격에 맞지 않는 일을 할때 비유하는 말.
◆ 갓쓴다고 선비되는건 아니다.
겉으로 흉내낸다고 해서 그 내면까지 바뀌는건 아니라는 말.
◆ 갓쟁이 헌갓 쓴다더니.
갓을 만드는 사람이 새갓은 팔아야 하므로 헌갓을 쓰게됨을 일컫는 말로
어떤 방면에 전문적인 기술이 있는 사람은 정작 자신의 소유에 대해서는 최고를 갖지 않는다는 말로 쓰임.
◆ 강건너 불구경.
강건너 불구경하듯 한다 .
자신과는 상관 없는 일이라고 남의 일에 너무 무관심한 태도를 보일 때 쓰는 말.
◆ 강물도 쓰면 준다.
강물은 한없이 많은 것 같지만, 그것도 자꾸 쓰면 줄듯이 아무리 많아도 어껴 써야 한다는 뜻.
◆ 강아지가 갉아먹던 송곳자루 같다.
강아지가 뼈다귀로 알고 먹던 자리가 송곳처럼 되어 몹시 보기 않좋다는 말로, 어떤물건이 아주 보기 흉하다는말.
◆ 강아지는 방에서 키워도 개가 된다.
천성이 나쁜 사람은 아무리 선하게 만들려해도 원래 성격을 바꾸기 어렵다는말.
◆ 강아지 메주 먹듯한다.
어떤 음식이든 아주 맛있게 먹는다는말.
◆ 강아지에게 메주 멍석 맡긴 셈이다.
믿지 못할 사람에게 일이나 물건을 맡겨 불안하다는 말.
◆ 강철이 가는 데는 봄도 가을이라.
불운한 사람은 이르는 곳마다 불행한 일이 따라 다닌다는 말.
◆ 강태공의 곧은 낚시질.
큰 생각을 가지고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며 하는 일없이 나날을 보낸다는 뜻.
◆ 강한 장수에게는 약졸이 없다. (북한)
강한 장수에게는 내버릴 병사가 없다는 뜻으로
사람은 누구나 잘 이끌어주면 훌륭해진다는 것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.
◆ 갖바치 내일 모레.
약속을 한 사람이 약속한 일을 내일 모레 자꾸 미룬다는 뜻. (갖바치...가죽신 만드는 사람).
◆ 같은 값이면 과부집 머슴살이.
이왕 같은 값이면 자기에게 이익이 있는 것을 하겠다는 뜻. - 비 : 같은값이면 (이왕이면) 다홍치마.
◆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.
값이나 조건등이 같을 바에는 이왕이면 좋고 마음에 드는 쪽을 택한다는 말.
◆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.(X) =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.
반응형
'사자.고사성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속담] '개' 로 시작하는 한국의 속담 - 2편 (0) | 2022.08.09 |
---|---|
斗酒不辭(두주불사) : 말술도 사양하지 않고 마신다는 말 (0) | 2022.08.09 |